사업을 시작하거나 운영 중인 이들에게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제도는 단순한 자금 보조를 넘어, 기업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 확보에 실질적인 기반이 됩니다.
예비 창업자부터 청년 창업자, 소상공인, 중소기업 경영자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대상과 목적에 맞춘 정책이 마련되어 있으며, 2025년에는 제도 확대와 개선이 함께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아래에서 주요 지원 프로그램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예비 창업자 지원 프로그램
① 예비창업패키지
✅ 대상: 사업자 등록 전 단계의 예비 창업자
✅ 지원 내용: 평균 5,000만 원 규모의 사업화 자금 지원
✅ 특징: 사업 아이템의 시장성 평가 후 시제품 제작, 마케팅, 전문가 멘토링 등 통합 지원
② 창업중심대학 – 도약기 창업기업 프로그램
✅ 대상: 창업 3년 초과 7년 이하 기업
✅ 운영기관: 지역 거점 창업중심대학
✅ 지원 내용: 최대 3억 원 규모의 정부 사업비 및 맞춤형 창업 성장 프로그램
✅ 목적: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스케일업(Scale-up) 유도 및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청년층 위한 고용 및 창업 지원
①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Ⅱ유형)
✅ 대상: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기업
✅ 지원 내용:
- 기업: 청년 1인당 720만 원 (12개월 간)
- 청년: 추가로 480만 원 지원
✅ 시행 시기: 2025년부터 ‘Ⅱ유형’ 신설로 확대 운영 예정
② 청년 창업 지원 프로그램
✅ 대상: 만 39세 이하 청년 창업자 (창업 3년 이내 기업)
✅ 지원 방식: 서비스 바우처(멘토링, 회계, 마케팅 등) 형태로 제공
✅ 특징: 기술 창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 업종 전반을 포괄하여 지원 범위 확대
소상공인 위한 실질적 지원 제도
① 고용보험료 지원
✅ 대상: 1인 자영업자 및 고용보험에 가입한 소상공인
✅ 지원 내용: 고용보험료 일부(기본 지원 + 일부 지자체 추가지원 최대 10%)
✅ 목적: 사회안전망 내 소상공인 편입 확대 및 자립 기반 강화
② 전기요금 특별 지원
✅ 목적: 고정비 부담 완화를 통한 경영 안정
✅ 지원 대상: 일정 매출 이하 소상공인 (지자체별 기준 상이)
✅ 지원 내용: 전기요금 일부 또는 전액 감면
③ 소상공인 정책자금
✅ 대상: 경영 애로를 겪고 있거나 창업 초기 단계에 있는 소상공인
✅ 지원 방식: 융자 형태의 정책자금 지원 (저금리, 장기상환 가능)
✅ 용도: 운영자금, 시설자금, 사업 확장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기타 정부지원 및 통합 서비스
①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금
✅ 대상: 기술개발이 가능한 중소·중견 기업
✅ 특징: 상환 의무 없는 무상 지원 형태
✅ 지원 분야: 시제품 개발, 지식재산 확보, 제품 고도화 등
② 보조금24
✅ 운영 주체: 정부24 플랫폼
✅ 기능: 본인 및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정부 보조금, 지원금, 혜택을 통합적으로 안내
✅ 특징: 사용자 맞춤형 조회 및 신청 기능 제공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지원금과 보조금은 단순한 재정적 혜택을 넘어, 지속가능한 경영과 창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자산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정책의 폭이 더욱 넓어지고, 참여 절차 또한 간소화될 예정이므로, 변화하는 제도를 수시로 점검하고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24 및 보조금24 플랫폼을 통해 본인에게 적합한 혜택을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정보가 곧 기회입니다.